Bloody Mary
ABV 8.18%
블러디 메리는 단순한 칵테일을 넘어, 풍부한 역사와 다채로운 맛을 품고 있는 전설적인 음료입니다. 붉은색의 강렬한 비주얼만큼이나 복합적인 풍미로 전 세계인의 사랑을 받고 있는 칵테일이죠.
블러디 메리는 보드카를 베이스로 토마토 주스, 레몬 주스, 핫소스, 우스터소스, 소금, 후추 등 다양한 향신료가 어우러져 만들어지는 칵테일입니다. 그 맛은 새콤하고 짭짤하며, 매콤한 스파이시함이 조화를 이루는 독특한 풍미를 자랑합니다. 단순히 음료를 넘어 한 끼 식사 같은 든든함과 해장술로서의 명성까지 지니고 있어, 낮 시간대에 특히 사랑받는 칵테일입니다. 알코올 도수는 약 8.18%로, 부담 없이 즐기기 좋습니다.
블러디 메리의 정확한 기원은 여러 설이 존재하며, 그만큼 흥미로운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가장 널리 알려진 설은 1921년 프랑스 파리의 '해리's 뉴욕 바(Harry's New York Bar)'에서 바텐더 페르낭 페티오(Fernand Petiot)가 처음 만들었다는 주장입니다. 당시 러시아 혁명으로 파리에 온 러시아인들이 보드카를 가져왔고, 미국인들은 통조림 토마토 주스를 즐겼는데, 페티오가 이 둘을 섞어 만들었다고 전해집니다. 처음에는 '피의 양동이(Bucket of Blood)'라고 불리기도 했습니다.
칵테일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도 여러 이야기가 있습니다. 가장 유력한 설은 16세기 잉글랜드의 메리 1세 여왕의 별명인 '피의 메리(Bloody Mary)'에서 유래했다는 것입니다. 그녀가 재위 기간 동안 가톨릭 부흥을 위해 신교도들을 박해하여 많은 피를 흘리게 한 역사에서 이름을 따왔다는 것이죠. 그 외에도 시카고의 '버킷 오브 블러드'라는 술집에서 일하던 메리라는 웨이트리스의 이름에서 유래했다는 설, 혹은 페르낭 페티오가 개인적으로 알던 '메리'라는 소녀의 이름에서 따왔다는 설 등 다양한 이야기가 전해집니다. 1930년대 금주법이 끝난 후, 페티오가 뉴욕의 세인트 레지스 호텔 '킹 콜 바(King Cole Bar)'로 자리를 옮기면서 현재의 형태로 발전시켰다고도 합니다.
블러디 메리를 구성하는 각 재료는 칵테일의 독특한 맛과 질감을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블러디 메리는 만드는 사람의 취향에 따라 무궁무진하게 변화할 수 있는 칵테일입니다.
블러디 메리는 특정 상황에서 그 진가를 발휘하는 칵테일입니다.
하이볼 글라스에 얼음을 가득 채워 칠링하거나, 미리 냉장고에 넣어 차갑게 준비합니다. 선택적으로 레몬 웨지로 글라스 림을 적신 후 소금 또는 셀러리 솔트에 굴려 솔트 림을 만듭니다.
칠링된 글라스에 핫소스 4대시, 우스터소스 10ml, 후추 1대시, 소금 1대시를 계량하여 넣습니다.
이어서 레몬주스 15ml와 보드카 45ml를 글라스에 조심스럽게 따릅니다.
글라스에 신선한 얼음을 가득 채운 후, 차가운 토마토주스 150ml를 부어줍니다.
바 스푼을 사용하여 모든 재료가 잘 섞이도록 글라스 안에서 부드럽게 저어줍니다. 너무 세게 저어 얼음을 녹이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마지막으로 셀러리 스틱과 레몬 웨지를 글라스에 꽂아 장식하여 마무리합니다.